'gitlab webhook'에 해당되는 글 1건

개요

  • gitlab에서 소스 변동이 발생될 시 jenkins에 자동으로 빌드 되도록 설정 방법을 기술

 

1. Webhook 이란?

  • 서버에서 어떠한 작업이 수행되었을때 해당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HTTP POST로 알리는 개념을 말한다
  • gitlab에서 webhook 설정이 되어있다면 git push 시 HTTP 신호를 전달받아 젠킨스에서 연동된 gitlab repo의 item에 build now를 실행

 

2. [Jenkins] Build Trigger설정

  • 빌드 유발 > Build when a change is pushed to GitLab 체크 & URL 확인 및 저장
  • 하단에 고급 클릭
  • Secret token항목에 "Generate" 버튼을 누르고 표시되는 토큰 값도 별도로 복사하고 저장 

 

 

3. [Gitlab] Webhook설정 및 테스트

  • gitlab의 연동할 프로젝트로 이동한다음 웹훅 설정 페이지 진입
    • Settings > Webhook 
  • 2번 "[Jenkins] Build Trigger설정"에서 복사해뒀던 url 과 token 값을 입력, 하단을 보면 여러가지 트리거가 유발되는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사용자마다 본인의 상황에 고려하여 설정하는게 좋을 것 같다. 
  • 하단에 "Add webhook" 버튼을 누른후 새로 생성된 Project Hooks에 대해 테스트를 해본다. 
  • 테스트 결과
  • 빌드를 유발시켰기때문에 젠킨스에서 빌드한 내역이 확인 가능하다
    •  
  •  

'UI Test > Jenkin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estLink & RobotFramework Plugin 관련 설정  (0) 2020.08.20
블로그 이미지

정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

,